전역 예외처리를 해야한다고 생각한 계기
- 각각의 도메인에 exception 폴더의 존재로 중복된 코드가 발생했고, 폴더 구조가 복잡하게 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2. 회원가입 시 클라이언트에서 값을 받아오는 컬럼의 경우 Valid를 사용하여 dto에서 예외 처리를 해주었지만 프론트에 정확한 에러 메시지가 보이지 않는 문제 발생.
해결 방법
1번의 문제에 대한 것은 globalexception폴더를 만들어 각 도메인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클래스를 구현했다.
2번의 문제는 service 로직에서 클라이언트가 입력하는 값을 가져와 비교하고자 하는 패턴과 matches 함수를 이용해 해결했다.
결과 & 배운점
기존에는 필요한 기능이나 도메인이 있으면 단순 구현만 했었는데,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면서 더욱더 중복되는 코드를 줄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exception 폴더를 수정하면서 어떤 부분에서 무슨 에러가 발생할지 다시 생각해 보며 효율적인 구조란 무엇인지 생각해 본 계기가 된 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시간복잡도 big O 표기법 (0) | 2023.05.29 |
---|---|
[Java] 조회기능 성능 개선 (0) | 2023.05.22 |
[회고] 프로젝트를 마치며.. (0) | 2023.05.13 |
[쿼리] JPA & JPQL & NativeQuery (0) | 2023.05.11 |
쿠키, 캐시, 세션 (0) | 2023.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