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 입문

Big Iron 2023. 2. 24. 20:15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한 후, 지정된 뷰에 모델 객체를 넘겨준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어떤 처리를 할지 Service로 넘겨준다.
    • Service에서 처리된 내용을 View로 넘겨준다.
  • URL마다 처리해야 할 기능을 정해놓은 API를 모아놓은 클래스이다.
    • 클라이언트가 API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 기능을 처리한 후 API를 통해 결과를 보내준다.
  •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Presentation 계층에 속해 있다.

#1 - Java 객체가 Controller 역할을 한다고 알려주는 어노테이션.

#2 - 각각의 레이어는 자기와 인접한 레이어와 직접 소통 /  ContentService 객체를 가지고 있기에 2-1와 같은 서비스 로직 호출 가능.

#3 - 특정 요청에 호출될 메소드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

#4 - 해당 메서드에 넘기는 인자값을 쉽게 넘기도록 도와준다. 일치하는 변수값을 메서드 호출시 같이 넘어감.

#5 - 3번과 다른 이유는 Http 메서드에 따라 다른 Controller 메서드를 연결해줄 수 있기 때문 / Get과 Post를 나눠 처리하기 용이함.

#6 - 뷰까지 같이 반환 or JSON형식으로 데이터만 반환을 따짐

 


 

  •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다.
  • Repository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가공하여 Controller에게 보내준다.
  • 서비스 / 시스템의 핵심 로직인 Domain(Business or Service) 계층에 속해 있다.

#1 - Java 객체가 서비스 역할을 하는 객체라고 알려주는 어노테이션

#2 - 인접한 계층의 Repository 객체를 가져옴

#3 - 인접한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부분

 


 

#1 - Java객체가 Repository 역할을 한다고 알려주는 어노테이션

#2 - JpaRepository상속을 통해 사용.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flyway와 DB migration 해야하는 이유  (0) 2023.09.23
[Spring] EC2에 Prometheus & Grafana 적용  (0) 2023.07.18
Http, Https 프로토콜  (0) 2023.07.11
Spring - MVC 패턴  (0)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