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를 사용하며 정말 기본적인 명령어는 알고 있기에 원격 저장소인 github에 데이터를 올리기는 할 수 있었다.
내가 알고 있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git add
- git status
- git commit -m ‘ ’
- git push origin main
- git pull origin main
- cd
- ls
- git init
- git branch
위의 명령어와 git config를 사용해 username과 email 설정한 이후 github 홈페이지에서 리포를 만들고 저장소를 저장하고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하면, 프로젝트 폴더 안에서 vscode를 열고 최초 git init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 안에 .git이라는 폴더를 만들어 git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프로젝트나 파일 수정 등을 거쳐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명’ 을 사용해 staging area(예비 저장소, 혹은 추적 대상 파일의 공간)에 올려놓고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명령어로 내 컴퓨터인 로컬 저장소에 보내줬다. 마지막으로 git push 라는 명령어를 사용해 원격 저장소인 githyb에 업로드하면 끝.
- 과정을 요약하자면
- git init(프로젝트 맨 처음에만)
- 프로젝트 진행 or 파일 수정
- git add ‘파일명’
-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 git push(원격저장소 업로드)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변수 (0) | 2023.02.13 |
---|---|
해커톤 프로젝트 경험 (0) | 2023.02.12 |
검색기능 만들기. (0) | 2023.02.10 |
회원가입 기능 만들기. (0) | 2023.02.09 |
협업 그리고 깃… (0) | 2023.02.08 |